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사회와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사회', '네트워크 정보 경제', '네트워크 개인주의' 개념이 공통으로 강조하는 현대사회의 변화방향 네트워크 사회, 네트워크 정보 경제, 네트워크 개인주의라는 개념에는 명확한 공통점이 있다. 바로 ‘네트워크’라는 단어가 들어간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네트워크’라는 4글자가 겹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네트워크’는 세 가지의 개념이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현대사회의 변화방향의 근본적인 특징을 담고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의 특징이 곧 현대사회의 변화방향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네트워크는 노드와 링크로 구성되는데, 이를 사회에 적용시키면 노드는 개인, 집단 등 사회의 구성원이라고 볼 수 있으며, 링크는 그 구성원들이 맺는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사회에 적용되는 네트워크라는 개.. 더보기
모바일 시대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 활발한 소통, 그러나 더 높아진 벽 이 리뷰는 제임스 하킨의 와 캐스 선스타인의 를 읽고, 모바일 시대의 공중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를 논한 글입니다. '니치', 비주류의 주류화 제임스 하킨은 라는 책을 통해 ‘비주류’라 일컬어졌던 것들이 주류가 된 현실을 분석하고 있다. 과거에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제품이 인기를 끌었다. 대기업들은 획일성과 무난함으로 대표되는, 개성이 전혀 없는 제품을 마구 쏟아냈다. 소비자들은 그러한 제품들에 열광했다. 의류 브랜드 'GAP'은 이러한 특징을 가장 충실히 반영한 기업으로 오랫동안 소비자들에게 사랑받았다. 그러나 시대가 지나면서 모두의 사랑을 받았던 제품들은 모두에게 외면당하게 되었다. 흐리멍텅한 정체성과 타겟팅의 결과였다. 사람들은 이제 자신의 개성을 확실하게 드러낼 수 있는 브랜드를.. 더보기